-
[2023년 9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9번/중세국어
이번 중세국어 문제는 중세 국어의 개념보다는
문장 성분에 대한 개념을 아는지가 더 중요했습니다.
문제에서 보면 '부속 성분'이라는 개념이 나오는 데요, 이는 문장 성분의 한 종류입니다.
'문장 성분'이란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를 말하는데요, 우리가 알고 있는 주어나 서술어가 문장 성분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문장 성분은 성격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주성분 -문장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성분
; 주어, 서술어, 보어, 목적어부속 성분 -문장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성분이 아닌 것으로 주로 주성분의 내용을 꾸며주거나 보충하는 역할을 함
; 관형어, 부사어독립 성분 -다른 문장 성분들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성분
; 독립어문제에서는 부속 성분을 찾으라고 했으니 결국은 관형어나 부사어를 찾아야 합니다.
그런데 하나의 조건이 더 있었는데 체언과 조사로 이루어져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관형어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문제에서는 이 중에서 (나)의 경우만 찾으라고 하는 것이죠.
부사어도 마찬가지로 체언에 '으로, 에, 과' 등 부사격 조사가 결합한 것을 찾아야 합니다.
a: '바다에'가 부사어로 [체언+조사] 구조입니다.
b: '중국과'가 부사어로 [체언+조사] 구조입니다.
c: '생인의'가 관형어로 [체언+조사] 구조입니다.
d: '낳은'이 관형어지만 용언의 활용형입니다.
e: '이대'가 부사어지만 하나의 단어입니다.
따라서 답은 1번 a,b,c가 됩니다.
'문법 기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7번/ 용언의 활용 (0) 2023.11.18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5~36번/중세국어 (0) 2023.11.17 [2023년 9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8번/피동, 사동, 동작상 (0) 2023.09.10 [2023년 9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7번/음운 변동 (2) 2023.09.10 [2023년 9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5~36번/직접구성요소 (5)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