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7번/현재 시제, 서술어의 자릿수, 안긴문장
이번 문제는 여러 개념들을 알고 있는지를 물어봤습니다.
시제, 서술어의 자릿수, 안긴문장 모두 따로 나와도 될 만큼 중요한 개념인데요,
다 설명을 할 수는 없지만 간략하게나마 짚고 넘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개념 설명
1)현재 시제
시제란 시간을 인위적으로 과거, 현재, 미래로 나누어서 표현한 것을 말합니다. 과거 시재, 현재 시제, 미래 시제로 나뉘죠. 이러한 시제는 주로 선어말 어미로 실현이 됩니다. 아래 표를 보실까요?
시제 실현 방법 예시 과거 시제 -었/았-
-더-철수는 어제 공원에 갔다.
어제 보니까 철수가 열심히 공부하더라현재 시제 -ㄴ/는- 나는 지금 문법 공부를 한다. 미래 시제 -겠-
-(으)ㄹ 것내일은 비가 오겠습니다.
내일은 비가 올 것입니다.이외에도 설명할 것들이 참 많지만 일단은 이렇게만 표로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
2)서술어의 자릿수
문장 성분 중에는 서술어라는 것이 있습니다. 동사나 형용사, '~이다'가 서술어가 되는데요 문장의 끝에 오는 녀석들이 바로 서술어입니다.
새가 난다. (동사)
고양이가 밥을 먹는다. (동사)
물이 차갑다. (형용사)
밥은 보약이다. (~이다)
서술어마다 문장 내에서 반드시 어떤 성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어 하나만 필요로 하면 한 자리 서술어, 주어를 포함하여 다른 하나를 더 필요로 하면 두 자리 서술어, 주어를 포함하여 다른 두 개를 더 필요로 하면 세 자리 서술어라고 합니다. 문제에서 나온 서술어의 자릿수는 이를 말합니다.
한 자리 서술어 물이 끓는다.
→ 주어만 필요두 자리 서술어 나는 밥을 먹는다.
→ 주어, 목적어가 필요세 자리 서술어 나는 동생에게 선물을 주었다.
→주어, 부사어, 목적어가 필요3)안긴문장
안긴문장은 내용이 정말 많습니다...ㅠ ㅠ 이것을 다 설명할 수 없으니 부사어로 기능하는 안긴 문장만 설명을 해볼게요.
안긴문장 중에서 부사어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1. 부사절로 안긴문장
철수는 [발에 땀이 나도록] 뛰었다.
바람이 [시원하게] 분다.
어떤 절이 부사형 전성어미 '-이, -게, -도록'가 쓰여 부사절로 안겨 있다면 당연히 부사어로 기능할 것입니다. 위의 예시를 보면 괄호친 안긴문장이 서술어를 수식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죠? 부사어의 특징은 서술어를 수식한다는 것이니까 어떤 절이 부사어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서는 이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2. 명사절로 안긴문장
[아침으로 과일만 먹기로] 마음먹었다.
제한 시간은 [철수가 마지막으로 들어옴으로써] 초과되었다.
명사형 전성어미 '-(으)ㅁ, -기'가 쓰이면 명사처럼 기능을 하는데요, 명사는 뒤에 여러가지 격조사가 쓰이면서 주어나 목적어, 부사어로 기능을 합니다. 위에 괄호친 부분을 보면 '기, 옴' 뒤에 '로, 으로써'와 같은 부사격 조사가 부사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뒤에 오는 서술어를 꾸며주고 있으니까요.
문제 37번 풀이
시제 a 자릿수 b 안긴문장
부사어 c그 집 마당에는 감나무 한 그루가 자란다 '-ㄴ-'이 쓰여 현재 시제 주어 필요 없음 선생님께서는 여전히 학교 근처에 사시는지요 지금 살고 있는지 물어보고 있으므로 현재 시제 주어, 부사어 필요 없음 산중에 있으므로 여기는 도시보다 조용합니다 있으므로: 현재 시제
조용합니다': 현재 시제있으므로:
주어, 부사어 필요
조용하다:
주어 필요없음
(이어진 문장)오늘부터 아침으로 과일만 먹기로 마음먹었니? '-었-'이 쓰여 과거 시제 주어 필요
목적어나 부사어 필요'먹기'라는 명사절 뒤에 '로'가 쓰여 부사어가 됨 오래전 큰아버지께 받은 책에 곰팡이가 슬었어 '-었-'이 쓰여 과거 시제 주어 필요 '받은'이라는 관현사절이 관형어로 쓰임 여기서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2번이 되겠죠? ㅎㅎ
근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3번 문장입니다. 안긴문장이 부사어로 쓰인 것에 대해서 보라색으로 칠해놓았는데요, 그 이유가 있습니다.
문법 개론서나 자습서를 보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로 본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장도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기에 부사절을 안은 문장으로 볼 수도 있죠.
현재 이의신청 게시판을 보면 이미 많은 수의 이의제기 글이 올라와 있는 상황이라 어떻게 될지는 평가원의 답변을 기다려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문법 기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9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5~36번/직접구성요소 (5) 2023.09.07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8번/음운 변동 (0) 2023.06.03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5~36번/중세국어의 격조사 (0) 2023.06.01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9번/중세 국어, 높임법 (2) 2023.05.13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8번/문장성분, 절 (3) 2023.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