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12. 10.

    by. 드림로드

    [중세 문법 개념] 중세 국어 용언 어렵지만 확실히 마스터하기!(+기출분석)

     

     

     

    중세 국어의 용언 부분은 어떻게 활용을 하는지 살펴보는 게 중요합니다.

    크게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으로 나눠보고

    그 활용들이 현대 국어와 어떻게 관련이 되는지도 살펴볼게요!

     

    규칙 활용

    *본격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이 뭔지 개념부터 간략히 짚고 넘어갈게요.
    아래 설명은 고3 모의고사에 나왔던 설명인데요 아주 잘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규칙 활용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태가 유지되거나 그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이 가능한 경우이고, 불규칙 활용특정한 환경이나 조건에서 불규칙적으로 형태가 변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규칙활용 사진1

    ㄱ의 활용 양상은 현대 국어의 '으'탈락과 유사합니다. 현대 국어에서도 '크다 + 어서'가 '커서'가 되는 활용이 있죠. 이렇게 'ㅡ'가 탈락되는 이유는 다른 모음에 비해 'ㅡ'가 약한 모음이기 때문입니다. 중세 국어에서도 이와 같은 활용이 나타나고 있죠. 

     

    ㄴ은 현대 국어의 '르'불규칙으로 이어지죠. 그런데 중세 국어에서는 ㄴ과 같은 활용이 예외가 없이 일어났습니다. 'ㆍ,ㅡ'가 탈락되는 것도 위의 ㄱ활용 양상으로 설명을 할 수 있죠. 따라서 중세 국어에서는 이러한 활용이 규칙 활용이었습니다.

    현대 국어에서는 '치르다 + 어서'가 '치러서'처럼 활용을 하는 경우도 존재하죠. 따라서 현대 국어에서는 불규칙 활용이 되는 것입니다.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규칙 활용 사진2

    이 또한 위의 ㄱ,ㄴ의 활용 양상과 비슷합니다. 보면 모두 약모음인 'ㆍ, ㅡ'가 탈락하면서 나타나고 있네요.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는 'ㅿ'이 존재하지 않아서 이런 활용 양상은 중세 국어에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불규칙 활용

    불규칙 활용 사진1

    이제부터 나오는 불규칙 활용들은 특정한 형태나 조건에서 나타나고 그 변화를 음운 규칙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입니다.

     

    ㅂ을 보면 현대 국어의 'ㄷ'불규칙과 같습니다. 과거에 이러한 불규칙 활용을 보였던 단어들이 현대까지 이어져서 ㄷ불규칙 용언이 된 것이죠. 

     

    ㅅ의 '이시다'는 현대 국어의 '있다'에 해당됩니다. 현대에는 없는 활용 양상이죠. 자음과 모음 어미가 올 때 불규칙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ㅇ의 '녀다'는 현대 국어의 '가다'에 해당됩니다. 중세 국어에는 '거로 시작하는 어미들이 있는데요, 이들 어미 앞에서는 '녀'가 '니'고 불규칙하게 교체됩니다. 음운 규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기에 불규칙 활용이 되는 거죠.

     

    ㅈ은 현대 국어의 '여'불규칙에 해당됩니다. 

     

    불규칙 활용 사진2

     

    ㅈ과 마찬가지로 ㅊ,ㅋ,ㅌ은 어미의 불규칙 활용입니다. 아직은 이 내용을 문제로 다루지는 않았지만 출현 환경이 딱딱 정해져 있어서 문제로 출제가 좋다고 생각됩니다. 한번 정리를 해 두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불규칙 활용 사진3

    오늘 포스팅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미 문제에서도 2차례나 나왔던 내용이죠.

     

    ㄹ은 현대 국어의 'ㅅ'불규칙과 같은데요. 중세 국어에서 'ㅅ'받침을 가진 일부 용언들 중에서는 'ㅅ'이 'ㅿ'으로 변합니다. 그런데 이 'ㅿ'은 시간이 지나서 그냥 소멸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되면 '지ᅀᅥ'의 경우에는 '지어'가 되는 것죠.  그리고 이들 단어가 현대까지 이어져 와서 'ㅅ'불규칙이 되는 것입니다. 현대의 'ㅅ'불규칙은 'ㅅ'이 탈락하는 것이죠?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었습니다.

     

    ㅁ은 현대 국어의 'ㅂ'불규칙과 같습니다. 중세 국어에서 'ㅂ'받침을 가진 일부 용언들 중에서는 ㅂ이 'ㅸ'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ㅸ'은 시간이 흐르면서 반모음 w가 되었죠. 현대 국어에서 '돕다'의 활용형이 '도와'인데 여기서 보면 'ㅂ'이 반모음이 되었는데 중세 국어의 이런 변화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추가 설명 사진

     

    이와 관련된 모의고사를 한 번 보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제가 '수만휘'카페에서 작성한 내용을 가지고 온 것입니다.)

     

    관련 문제 사진1
    관련 문제 사진2
    관련 문제 사진3
    관련 문제 사진4

     

     


    이상 용언에 대한 설명이었습니다!!!! 그럼 모두 열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