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9번/ 부사어
이번 문제는 착실하게 공부를 한 친구들이
잘 풀었을 문제입니다. 물론 그럼에도 어려웠다고 생각해요.
이 문제는 부사어를 묻고 있지만,
부사와 부사어의 관계, 용언의 활용 등과 같은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문법 지식들이 갖춰져 있어야 했죠.
기본적이긴 하지만 필요한 기본 개념부터 간략하게 살펴볼까요?
일단 '부사'는 품사를 의미 기준으로 분류했을 때의 9품사 중 하나입니다.
부사는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특성의 1번 항목처럼 다양한 요소를 수식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죠.
(가),(나)는 용언을 (다)는 다른 부사를, (라)는 관형사를, (마)는 뒤에 오는 문장 전체를 꾸며줍니다. (바)는 뒤에 보조사가 결합하는 걸 보여주고 있네요.
이러한 부사를 문장 성분으로 따져보면 부사어가 되는데요, 이때 문장 성분이란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를 말하는데,
문장 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따라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사어, 관형어, 독립어'로 구분이 됩니다.
부사어는 문장 성분의 하나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부사'의 특징이 수식이었는데 부사어도 그 이름이 비슷한 거만큼이나 역시 수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부사는 당연히 문장 내에서 부사어로 분류할 수 있는데요, 반드시 부사만 부사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a) 선을 세로로 그었다.
(b) 그는 발에 땀이 나도록 뛰었다.
(a)는 '세로로'가 뒤에 오는 용언을 꾸며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사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전체가 부사는 아닙니다. '체언+조사'로 구성되어 있죠. (b)는 '나다'의 어미에 '도록'이 붙으면서 밑줄 친 부분 전체가 부사어가 되고 있어요. 왜냐하면 이 부분이 뒤에 오는 용언을 꾸며주니까요. 용언의 어미가 바뀌는 것을 활용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용언의 활용형도 부사어가 됩니다.
요약해서 중요한 것만 말하자면, 부사는 품사의 일종이고, 부사어는 문장 성분의 일종이라는 거! 그리고 부사어가 되는 형식은 부사뿐 아니라 다양하다는 것! 그리고 가장 큰 특징은 용언(서술어)를 수식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문제를 풀어볼까요!?
선지에서 부사어에만 밑줄을 그으면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부사어를 찾는 방법은 수식 기능을 하는 것들 중에서 '체언+조사'나 품사가 부사인 것들, 그리고 용언을 수식하는 것을 찾으면 됩니다. (참고로 체언을 수식하는 녀석은 관형어입니다!)
그럼 밑줄 친 것 위주로 선지를 살펴볼게요!
①주의해야 할 것은 '깔끔히'와 같은 단어를 용언을 '깔끔하다'라는 용언이 있다고 해서 용언의 활용형으로 봐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들은 이미 접사가 붙어서 새로운 단어로 파생이 되었습니다. 용언의 활용형은 품사가 변하지 않지만 이런 것들은 품사가 변하죠. 1번은 틀린 선지입니다.
원칙대로
:원칙(체언) + 대로(조사)깔끔히
: 접사가 붙어서 파생된 부사②'한순간에'가 서술어를 수식하고, '전혀'가 관형사(관형어)를 수식하고 있네요. 정답입니다.
전혀
: 부사 / 뒤의 '딴'이라는 관형사를 수식한순간에
:한순간(체언) + 에(조사)③둘 다 용언의 활용형이 아니기 때문에 틀렸습니다.
무턱대고
:이 자체로 부사입니다! '무턱'이란 말이 존재해서 '대고'가 접사처럼 보이지만 잘 쓰이지 않는 비생산적인 접사인 것 같네요.많이
: 접사가 붙어 파생된 부사④'세로로'는 '체언+조사'인데 이에 대한 설명이 없습니다. 틀린 선지입니다.
조금
:부사세로로
: 세로(체언)+로(조사)⑤ '방긋이'는 용언의 활용형이 아니기 때문에 틀린 선지입니다.
방긋이
:접사가 붙어 파생된 부사참
:부사
이 문제를 풀면서 관련된 여러 개념을 함께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그럼 열공!!!!
'문법 기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8번/ 합성어 (0) 2024.04.08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7번/ 음운 변동 (0) 2024.04.05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8번 (0) 2023.11.20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7번/ 용언의 활용 (0) 2023.11.18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5~36번/중세국어 (0) 2023.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