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8번/ 합성어
이번 문제는 합성어에 대한 문제입니다.
문제가 정말 간단했는데요!
관련 개념부터 언넝 살펴볼게요!!
합성어의 구분
합성어는 '어근+어근'의 결합으로 이뤄진 복합어입니다. 어근이 접사와 결합한 파생어와는 다르죠.
합성어는 기준에 따라 다르게 구분이 됩니다.
먼저 어근이 결합된 방식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구분이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통사적이란 우리말에서 문장을 이루는 일반적인 배열을 말하죠.
한편 어근의 관계에 따라 '대등 합성어', '종속 합성어', '융합 합성어'로 구분됩니다.
이번 문제는 바로 이 부분을 출제했죠.
<문법의 정수> p.115 대등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이 대등한 관계를 이룹니다. 두 어근 사이에 '와/과'나 '-고'가 들어가서 말을 만들 수 있으면 대등 합성어가 되죠. 예를 들어 '논밭'은 '논과 밭'으로, '높푸르다'는 '높고 푸르다'가 됩니다.
종속 합성어는 앞의 성분이 뒤에 오는 성분을 수식합니다. 예를 들어 '돌다리'는 '돌로 만든 다리'라는 뜻으로 '돌'이 뒤에오는 다리를 수식하죠.
융합 합성어는 어근이 원래 의미를 잃어버린 경우를 말합니다. '밤낮'은 '항상, 늘'이라는 의미를 지니죠. 물론 '밤과 낮'이라는 의미로 쓰였다면 그때는 대등합성어가 됩니다.
문제 풀이
<보기>에 밑줄 친 부분을 보면
가: 대등 합성어
나: 종속 합성어
다: 융합 합성어
가 됩니다.
그럼 선지를 하나씩 보겠습니다.
①논밭: '논과 밭'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대등 합성어입니다.
②보리밥: '보리로 만든 밥'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종속 합성어입니다.
③돌다리: '돌로 만든 다리'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종속 합성어입니다.
④길바닥: '길의 바닥'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종속 합성어입니다.
⑤피땀: '피와 땀'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노력'이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융합 합성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번입니다!
'문법 기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9번/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2) 2024.04.08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7번/ 음운 변동 (0) 2024.04.05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9번/ 부사어 (1) 2023.11.21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8번 (0) 2023.11.20 [2023년 수능] 고3 국어 문법 분석_37번/ 용언의 활용 (0) 202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