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림로드 국어 공부 블로그
메인화면
  • 국어 공부 :)
    • 문법 개념 설명
    • 문법 기출 분석
    • 문학 개념 설명
메인화면
  • 국어 공부 :)
    • 문법 개념 설명
    • 문법 기출 분석
    • 문학 개념 설명
블로그 내 검색

드림로드 국어 공부 블로그

국어 문법, 문학, 기출문제를 다루는 블로그입니다.

  • 문법 개념 설명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6번/ 중세 국어 품사

    2024. 3. 31.

    by. 드림로드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6번/ 중세 국어 품사

     

    지문 분석

     

    지문 사진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를 비교하여 3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a: 품사가 같은 경우
    ex) 높이


    b: 품사가 다른 경우
    ex) 새


    c: 품사 분류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
    ex) 맏

     

    여기서 '새'의 경우에는 특히 잘 기억해 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품사뿐아니라 단어의 파생에서도 곧잘 나오는 예이기 때문이죠!!!

     

    c를 보면 접사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접사의 경우에는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품사를 부여할 수 없습니다!

    품사란 단어들을 구분한 거라는 것을 잊지 마세요!

     

     

    그럼 바로 문제를 풀어 볼게요!!

     

     

    36번 문제 풀이

     

    중세국어를 많은 학생 친구들이 어려워하지만 실제 문제가 출제되는 것을 보면 참 친절합니다 ㅎㅎㅎ

    여기 문제에서도 아주 친절히 현대어 풀이를 주고 있으니까요.!!!

     

    보시면 '어늬'는 현대어로 '어느 것이'입니다. '어느 것'에 '이'라는 주격 조사가 붙어 있죠.

    따라서 중세 국어의 '어늬'도 주어라고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어늬'는 '어느'라는 형태에 'ㅣ'라는 주격 조사가 결합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어느'는 체언이라고 볼 수 있죠.

     

    근데 현대 국어에서 '어느'는 현대어 풀이에서도 나오듯이 뒤에 오는 체언을 꾸며 주는 관형사입니다.

    따라서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품사가 같지 않기 때문에 b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지 내용은 틀렸습니다.

     


     

    현대 국어나 중세 국어에 큰 차이가 없습니다. 둘 다 뒤에 오는 '있다'라는 용언을 수식하고 있어요.

    '~~가 깊다'라는 서술성은 없이 '베개를 높이 베고'처럼 수식만 할 뿐이기 때문에 둘 다 부사입니다.

     

    (참고로 '-이'가 어미로 쓰일 때는 '~같이, ~달리, ~없이'처럼 '같다, 다르다, 없다' 뒤에 붙을 때입니다. '넓다, 깊다, 높다' 등의 형용사와 결합할 때는 척도 명사를 파생하는 접사로 쓰입니다. 이는 중세 국어에서도 유사한 모습을 보입니다.)

    선지 내용은 틀렸네요.

     

    '엿보다'는 '보다'에 접사 '엿-'이 결합된 파생어입니다.

    그런데 중세 국어의 형태를 보니까 뒤에 어미 '-어'가 결합하고 있어요. 이는 중세 국어에서 '엿'이 용언이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c의 사례라고 볼 수 있죠.

    선지 내용은 틀렸습니다.

     


    '날것'에서 '날'은 익히지 않은 이라는 의미를 더해 줍니다. '날고기'를 떠올리면 이해하기가 쉽니다. 따라서 '날'은 접사죠.

    그런데 중세 국어에서 보면 '날' 뒤에 조사가 결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중세 국어의 '날'은 명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c의 사례네요.

    선지 내용이 맞습니다. 4번이 정답이네요.

     

    현대 국어에서도 '바' 뒤에 조사가 결합하고 있고 중세 국어에서도 조사 'ㅣ'가 결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둘다 명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선지 내용은 틀렸습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문법 개념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5번/ 품사 분류, 품사 통용  (1) 2024.03.31
    [국어 문법 겨울 특강_1강] 음운에 대한 기초 지식 마스터하기!!!  (0) 2024.01.23
    [중세 문법 개념] 중세 국어 용언 어렵지만 확실히 마스터하기!(+기출분석)  (1) 2023.12.10
    [중세 문법 개념] 중세 국어 체언 한 번에 정리하기(+ㅎ종성 체언)  (1) 2023.12.03
    [중세 문법 개념] 중세 국어의 격조사 한 번에 마스터하기!!!!  (0) 2023.10.23

    이 글을 본 사람들도 관심있게 본 글

    • [2024년 3월] 고3 국어 문법 분석_35번/ 품사 분류, 품사 통용 2024.03.31
    • [국어 문법 겨울 특강_1강] 음운에 대한 기초 지식 마스터하기!!! 2024.01.23
    • [중세 문법 개념] 중세 국어 용언 어렵지만 확실히 마스터하기!(+기출분석) 2023.12.10
    • [중세 문법 개념] 중세 국어 체언 한 번에 정리하기(+ㅎ종성 체언) 2023.12.03
Designed by Organic
블로그 이미지
드림로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