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법 개념] 자음군 단순화(+ㅎ탈락)
1. 요약
정의: 음절 종성에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이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① ㄺ, ㄻ, ㄿ➝ 앞의 자음이 탈락
ex) 닭 [닥], 밝+지 [박찌]
삶+다 [삼따], 삶+만 [삼만]
읊+고 [읍꼬]②나머지 겹자음➝ 뒤의 자음이 탈락
ex) 넋 [넉], 외곬 [외골]
훑+고 [훌꼬], 넓+고 [널꼬]2. 기본 설명
음운 변동은 크게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변하는 대치, 음운이 사라지는 탈락,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축약, 새로운 음운이 추가되는 첨가로 나뉩니다. 우리가 앞서 배웠던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대치였습니다. 반면에 이번에 배우게 될 자음군 단순화는 음운이 사라지게 되는 탈락입니다.
자음군 단순화가 어떤 현상인지 알기 위해서는 먼저 명칭을 살펴봐야겠죠?
'자음군'이라는 말에서 '군'은 무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자음군은 자음이 모여서 무리를 만든 것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말에서 자음이 무리는 지을 때는 언제가 있을까요.
'닭, 삶, 밝다, 밟는다...'
위의 단어들처럼 받침에 겹자음이 쓰일 때 자음군이 쓰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들 글자를 발음할 때 받침에 쓰인 두 개의 글자를 모두 발음하나요? 아니죠 ㅎㅎ 그렇게 발음을 억지로 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습니다. 발음 구조상 우리말을 말할 때는 받침에서 반드시 하나만 소리가 나야 합니다. 이를 문법적인 용어로 설명을 하자면 음운론적 제약이라고 합니다. 음운론적 제약이라는 말은 우리가 말을 할 때 표기 그대로 발음을 할 수 없는 경우 정도로 이해하고 계시면 됩니다.
그러면 '단순화'라는 것은 어떤 의미인지 대충 눈치를 채셨겠죠? 네 ㅎㅎ 맞습니다. 받침에 자음군이 모두 발음될 수 없으니 니 둘 중 하나가 탈락을 하는데 이렇게 탈락을 하는 것을 '단순화'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정리하자면 자음군 단순화라는 것은 받침에 오는 자음군을 하나 탈락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위 요약에서 정의를 보면 자음군 단순화는 음절 종성에서 나타난다고 했습니다. 이는 앞서 배운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같습니다.
[문법 개념] 음절의 끝소리 규칙(평파열음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평파열음화) 이전 포스팅에서는 음운론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을 배워봤다면 이 포스팅부터는 본격적으로 음운 변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살펴볼 음운 변동
d-road.tistory.com
글자가 음절의 끝소리에 위치한다는 것은 받침, 즉 종성에 와야한다는 것인데요. 아래와 같이 3가지의 경우의 수가 존재했었습니다.
-뒤에 아무런 글자도 오지 않는 경우/ 홀로 발음될 때
ex) 꽃[꼳], 잎[입]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글자가 올 때
ex) 꽃도[꼳또], 꽃집[꼳찝]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올 때
ex) 꽃 안에 → 꼳안에 → [꼬다네]예를 들어 '밟+아=밟아'를 볼까요? 표기상으로는 분명 2개의 자음, ㄹ과 ㅂ이 이룬 자음군이 음절 종성에 오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소리나는 대로 발음해보면 [발바]가 됩니다. 자음군에서 뒤에오는 자음인 ㅂ이 다음 음절 초성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실제로는 음절 종성에는 자음군이 온 것이 아니라 ㄹ 혼자 온 셈입니다. 따라서 음절의 끝소리에 자음군이 위치해 있다고 볼 수 없는 것입니다. 이 내용을 절대 잊지마세요!!
자음군 단순화에서 중요한 것은 2가지의 자음중 어떤 자음이 탈락하느냐 입니다. 이를 쉽게 외우는 방법은 2가지로 나눠서 외우는 것입니다. 위의 요약에서 적어놓은 것처럼, 먼저 'ㄺ, ㄻ, ㄿ'은 앞에 자음이 탈락하고 나머지 자음은 모두 뒤의 자음이 탈락한다고 외우면 쉽습니다.
예시1) 닭 : ㄺ이기 때문에 앞의 자음이 탈락하여 [닥]으로 발음함
예시2) 넓+고 =넓고 : 'ㄺ, ㄻ, ㄿ' 이외의 자음군이 왔기 때문에 뒤의 자음이 탈락하여 [널꼬]로 발음함
이렇게 접근하시면 됩니다. 'ㄺ, ㄻ, ㄿ' 을 외울 때 저는 '닭을 삶을 때 시를 읊는다'로 외웠어요. ㅎㅎ 이렇게 외우니까 쉽게 외워지더라구요!
3. 예외
그러나 탈락할 때 예외가 있습니다. 크게 어렵지 않으니 아래 표만 알고 계시면 되는데요!
① [ㄺ, ㄻ, ㄿ]의 예외
-어간이 'ㄺ'으로 끝날 때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뒤의 자음이 탈락함
ex) 읽 + 고 ➝ [일꼬], 맑 + 게 ➝ [말께]
- 이 예외 현상은 용언의 활용에서만 일어나고 '체언-조사'에서는 일어나지 않음
ex) 흙 + 과 ➝ [흑꽈]②[나머지 겹자음]의 예외
-어간이 '밟-'인 경우에는 앞의 자음이 탈락함
ex) 밟 + 다 ➝ [밥따], 넓 + 다 [널따]
-'넓죽하다, 넓적하다, 넓둥글다'의 경우에도 앞의 자음이 탈락함
ex) [넙쭈카다], [넙쩌카다], [넙뚱글다]①의 예외를 볼까요? '읽고'를 보면 원래라면 앞의 ㄹ이 탈락하여 [익꼬]가 되어야 하지만 용언이 활용되는 과정에서는 예외적으로 뒤의 ㄱ이 탈락이 됩니다. ㄱ이 ㄱ을 만나 도망친다고 생각하면 외우기 편합니다.
(참고: 용언, 활용, 어간, 어미라는 개념은 추후에 포스팅을 하겠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동사나 형용사를 용언이라 하고 이들이 '먹다, 먹고, 먹었니, 먹네...' 등으로 모양을 바꾸는 것을 활용이라 합니다. 이때 모양이 달라지는 부분이 어미이고 달라지지 않는 부분이 어간이죠.)
②의 예외에는 2가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먼저 어간이 '밟-'인 경우에는 뒤의 자음이 아닌 앞의 자음이 탈락합니다. 따라서 '넓다'는 원칙대로 뒤의 자음이 탈락하여 [널따]가 되지만 같은 자음군이 쓰인 '밟다'는 [밥따]가 됩니다.
나머지 하나는 '넓죽하다, 넓적하다, 넓둥글다'라는 구체적인 단어에서 앞의 자음이 탈락한다는 것입니다. 이거는 그냥 외우고 있어야겠네요!
4. 'ㅎ탈락'과의 비교
자음군 단순화가 문제로 출제될 때 가장 많이 함께 등장하는 것이 바로 ㅎ탈락입니다.
*ㅎ탈락
-정의: 'ㅎ'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 'ㅎ'이 탈락하는 현상
-예시: 낳은[나은], 놓아[노아], 많아[마나], 않은[아는]'많아'와 '않은'을 보면 마치 자음군에서 하나가 탈락하는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난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 둘은 환경이 완전히 다릅니다. 결론만 먼저 말하자면 자음군 단순화는 자음군이 음절의 끝소리에 위치하고 ㅎ탈락은 음절의 끝소리에 위치하지 않습니다. ㅎ탈락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 나타나기 때문에 자음군이 음절의 끝소리에 위치할 수 없습니다.
+은 넓다 [널븐] 많다 [마는] '-은'과 같은 어미는 형식 형태소에 포함되는데요 이런 어미가 오게 되면 [널븐]처럼 뒤에 오는 자음이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올라갑니다. 이를 우리는 흔히 연음이라고 말하죠. 자음군 단순화가 나타날 환경이 아닙니다. 그런데 '많다'을 보면 [만흔]처럼 ㅎ이 연음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냥 ㅎ이 사라집니다. 따라서 이는 자음군 단순화가 아닌 새로운 현상인 'ㅎ탈락'이라고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이렇게 ㅎ이 탈락하는 이유는 ㅎ이 자음으로서의 성격이 약하여 연음되는 환경에서 쉽게 탈락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형식 형태소는 어미, 조사, 접사 등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음군 단순화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너무 어렵게 설명하는 것 아니야?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해?라고 생각이 드실 수도 있지만, 이렇게 그 원리를 파악하게 되면 나중에 시간이 지나서도 절대 잊을 일이 없고, 다른 개념을 배우더라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여기서도 나왔듯이, 어미, 접사 등 다양한 개념들도 함께 공부하는 시간이 되기 때문에 여러분들의 공부의 질을 더 높여줄 수도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문법 개념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법 개념] 유음화 한 번에 익히기!!! (+'ㄹ'의 비음화) (10) 2023.05.05 [문법 개념] 비음화, 'ㄹ'의 비음화 끝내기!!! (+동화 현상) (0) 2023.05.02 [문법 개념] 음절의 끝소리 규칙(평파열음화) (0) 2023.04.25 [문법 개념] 음운 - 자음 체계, 모음 체계 (0) 2023.04.23 [문법 개념] 음운, 음성, 최소대립쌍, 변이음 (0) 2023.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