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7번/음운 변동
이번 문제는 음운 변동의 종류에 대해 알고 있는지를 물어보는 문제였습니다. 음운 변동의 경우에는 그나마 학생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 놓는 파트라 크게 어려움은 없으셨을거라 생각합니다.
▶음운 변동의 종류 ; 교체, 축약, 탈락, 첨가
위 표는 음운 변동의 종류와 그 하위 종류를 구분한 것입니다. 굳이 이것을 외울 필요는 없겠죠? 눈으로 천천히 보시면서 내가 이중에 어떤 것을 모르는지 한 번 파악해 보세요 ㅎㅎ
▶지문 분석
지문에 나온 단어들을 분석을 해야겠죠??? 선지에도 보면 5가지의 단어가 나오기 때문에 이들도 역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국화꽃[구콰꼳] 옆집[엽찝] 칡넝쿨[칭넝쿨] 삯일[상닐] 호박엿[호방녇] 교체 1. 꽃 → 꼳
(평파열음화)1. 옆 → 엽
(평파열음화)
2. 집 → 찝
(된소리되기)1. 칙 → 칭
(비음화)1. 삭 → 상
(비음화)1. 엿 → 엳
(평파열음화)
2. 박 → 방
(비음화)축약 1. 국화 → 구콰
(유기음화)탈락 1. 칡 → 칙
(자음군 단순화)1. 삯 → 삭
(자음군 단순화)첨가 1. 일 → 닐
'ㄴ'첨가1. 엿 → 녓
'ㄴ'첨가백합화[배카퐈] 샅샅이[삳싸치] 값없이[가법씨] 몫몫이[몽목씨] 백분율[백뿐뉼] 교체 1. 샅 → 삳
(평파열음화)
2. 샅 → 쌑
(된소리되기)
3. 티 → 치
(구개음화)1. 업시 → 업씨
(된소리되기)1. 목 → 몽
(비음화)
2. 목시 → 목씨
(된소리되기)1. 백분 → 백뿐
(된소리되기)축약 1. 백합 → 배캅
(유기음화)
2. 캅화 → 카퐈
(유기음화)탈락 1. 값 → 갑
(자음군 단순화)1. 몫 → 목
(자음군 단순화)첨가 1. 율 → 뉼
('ㄴ'첨가)정답만 먼저 맞혀보자면 3번이 되겠죠? 엄청 어려운 문제는 아니었지만 시간은 조금 걸렸을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문제였습니다.
또 이걸 보시면서 아마 음운 변동 순서에 대해 어려워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사실 몇 가지의 음운 변동의 경우 순서를 정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그들 간의 순서를 알고 계셔야 하는데요. 실제로 이런 문제가 출제가 되기도 했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직접적으로 연관은 되지 않지만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조만간 포스팅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단어 모두를 살필 필요는 없을 것 같아 몇 개만 뽑아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칡넝쿨
탈락
-자음군 단순화여기서는 순서가 중요합니다. '칡'이 '칭'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겹자음 중 하나가 탈락이 되어야 합니다. ㄱ이 비음화를 거쳐 ㅇ이 되는 것이지 ㄺ이 비음화로 ㄹㅇ이 될 수는 없기 때문입니다. 교체
-비음화자음군 단순화로 인해 '칙'이 되고 이후에 ㄱ이 뒤에오는 ㄴ에 의해 비음 동화가 되어 ㅇ이 됩니다. ▷삯일
탈락
-자음군 단순화탈락과 첨가는 뭐가 우선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들 간의 순서는 따로 정하지 않습니다.
ㄳ 뒤가 모음임에도 불구하고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뒤에 오는 모음이 실질 형태소이기 때문입니다. 잘 모르시겠다면 아래 올려둔 포스팅을 꼭 참고해 주세요!첨가
-'ㄴ'첨가첨가와 비음화는 순서가 중요합니다. '삭'의 ㄱ이 비음화로 ㅇ이 되기 위해서는 뒷말에 비음이 와야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비음화보다 'ㄴ'첨가가 먼저 일어나야 합니다. 'ㄴ'첨가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교체
-비음화'삭닐'이 되고 나면 첨가된 ㄴ에 의해 ㄱ이 비음 동화를 거쳐 ㅇ이 됩니다. ▷샅샅이
교체
-평파열음화처음에 나온 '샅'의 ㅌ은 음절의 끝소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평파열음화가 일어나야 합니다. 교체
-된소리되기평파열음화와 된소리되기도 순서가 중요해요. ㅌ이 ㄷ이 된 후에야 ㅅ이 된소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죠.
뒤에 오는 '샅'의 ㅅ은 앞의 ㄷ에 의해 ㅆ으로 교체가 됩니다.교체
-구개음화뒤에 오는 '샅'의 ㅌ은 '이'로 연음이 되어 '티'가 됩니다. 그런데 '이'는 접사로 형식 형태소이고 모음 'ㅣ'로 시작합니다. 이는 구개음화의 환경이므로 ㅌ은 ㄷ이 됩니다. [문법 개념] 음절의 끝소리 규칙(평파열음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평파열음화) 이전 포스팅에서는 음운론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을 배워봤다면 이 포스팅부터는 본격적으로 음운 변동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살펴볼 음운 변동
d-road.tistory.com
[문법 개념] 자음군 단순화 완전정복!!!(+ㅎ탈락)
[문법 개념] 자음군 단순화(+ㅎ탈락) 1. 요약 정의: 음절 종성에 두 개의 자음이 올 때 이 중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 ① ㄺ, ㄻ, ㄿ➝ 앞의 자음이 탈락 ex) 닭 [닥], 밝+지 [박찌] 삶+다 [삼따], 삶+만 [
d-road.tistory.com
[문법 개념] 비음화, 'ㄹ'의 비음화 끝내기!!! (+동화 현상)
[문법 개념] 비음화, 'ㄹ'의 비음화 (+동화 현상) 비음화 'ㄹ'의 비음화 정의: 장애음이 비음에 의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ㄱ/ㄷ/ㅂ + ㅁ/ㄴ → ㅇ/ㄴ/ㅁ ex) 국민[궁민], 믿는[민는], 밥만[밤만] 정의:
d-road.tistory.com
[문법 개념] 유음화 한 번에 익히기!!! (+'ㄹ'의 비음화)
[문법 개념] 유음화 한 번에 익히기!!! 정의: ㄴ이 ㄹ에 의해 ㄹ로 바뀌는 현상 ① 순행적 유음화 : ㄹ + ㄴ → ㄹ ex) 칼날[칼랄], 물놀이[물로리] 종이를 날리다[종이를랄리다] ※예외 ⓐ어간 말음
d-road.tistory.com
[문법 개념] 된소리되기(경음화) 완전 정복!!!
[문법 개념] 된소리되기(경음화) 완전 정복!!! 정의: 평음이 특정한 환경에서 경음으로 바뀌는 현상 ①평파열음 뒤의 경음화 ex) 입고[입꼬], 믿다[믿따], 국밥[국빱] -어떤 예외도 없는 가장 대표적
d-road.tistory.com
[문법 개념] 구개음화 완벽 정리!!!
[문법 개념] 구개음화 완벽 정리!!! 구분 내용 정의 -ㄷ,ㅌ이 모음ㅣ나 반모음y 앞에서 경구개음 ㅈ,ㅊ으로 바뀌는 현상 성격 -자음이 모음의 조음 위치에 닮아가는 동화 현상 조건 1. 형태소 경계
d-road.tistory.com
여기서 쓰인 음운 변동은 된소리되기, 자음군 단순화, 평파열음화, 비음화, 유기음화, 구개음화, 'ㄴ'첨가였습니다.
이중에 제가 'ㄴ'첨가 빼고 모두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포스팅을 하지 않은 녀석만 간단히 설명을 해볼게요.
'ㄴ'첨가
개념: 파생어나 합성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모음'ㅣ'나 반모음y로 시작할 때, 그 사이에 'ㄴ'이 첨가되는 현상
1.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경우
솜 + 이불 → [솜니불], 색 + 연필 → (색년필) → [생년필]
2. 파생어에서 나타나는 경우
한 + 여름 → [한녀름], 신 + 여성 → [신녀성]
3.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나타나는 경우
옷 입다 → (옷닙따) → (옫닙따) → [온닙따]파생이나 합성 등 단어가 새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새롭게 ㄴ이 첨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현상은 필수적인 현상은 아닌데요, 중요한 점은 뒷말이 형식 형태소인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높 + 이, 먹 + 이
이들 단어도 환경만 놓고 보면 ㄴ이 첨가되어야 하지만 뒤에 오는 '이'가 형식 형태소인 접사이기 때문에 ㄴ이 첨가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식의 음운 변동 문제는 정말 다양하게 변형되어 나올 수 있어요. 중요한 건 기초와 기본! 계속 강조하는 만큼 중요합니다. 그럼 다음 문제로! 열공!!!
'문법 기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7번/현재 시제, 서술어의 자릿수, 안긴문장 (11) 2023.06.02 [2023년 6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5~36번/중세국어의 격조사 (0) 2023.06.01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9번/중세 국어, 높임법 (2) 2023.05.13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8번/문장성분, 절 (3) 2023.05.12 [2023년 5월] 고3 모의고사 국어 문법 분석_35~36번/동음이의어 (1) 2023.05.11